at 명령어로 ‘나중에 실행되는 작업’ 예약하는 방법 (cron과 차이)
원하는 시점에 한 번만 실행되는 작업을 예약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을 정리했다. at의 시간 표기, 환경 전달, 로그/메일 처리, 관리 명령, 보안 설정, cron과의 차이와 전환 기준까지 실전 중심으로 설명한다.
원하는 시점에 한 번만 실행되는 작업을 예약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을 정리했다. at의 시간 표기, 환경 전달, 로그/메일 처리, 관리 명령, 보안 설정, cron과의 차이와 전환 기준까지 실전 중심으로 설명한다.
리눅스 부팅과 서비스 구동 방식은 SysV init의 runlevel에서 systemd의 target으로 진화했다. runlevel은 숫자(0~6)로 시스템 상태를 구분하고, systemd는 유닛(Unit)과 의존성 그래프를 활용해 더 유연한 부팅 시나리오를 제공
리눅스에서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할 때 흔히 사용하는 명령이 kill -9다. 하지만 이 명령은 무조건적인 종료를 유도해 데이터 손상이나 시스템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다. 이 글에서는 kill -9의 문제점과 안전하게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올바른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
명령어 출력과 로그를 조용히 처리하고, 벤치마크·백그라운드 작업·보안까지 돕는 장치가 있다. /dev/null은 단순 쓰레기통이 아니라 읽으면 EOF, 쓰면 즉시 폐기하는 특수 장치로, 리눅스 운영의 기본기이자 성능·안정성 도구다.
Views: 0리눅스 서버에서 서비스가 예기치 않게 중단되는 상황은 빈번하다. 이를 방지하려면 자동 재시작 설정이 필수다. 이 글에서는 systemd, supervisor, bash 스크립트를 활용해 서비스 장애 발생 시 자동으로 복구하는 3가지 실무 방법을 구체적으로 정리한다. 서비스 자동 재시작이 필요한 이유 리눅스 서버는 장시간 운영되는 만큼 네트워크 오류, 메모리 누수, 일시적 예외 등으로 프로세스가 멈출 수 있다. 이를 … Read mor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