Views: 0
로그 파일을 단순히 cat /var/log/…처럼 열면 전체 내용이 한꺼번에 출력되어 가독성이 떨어지고, 과거 내용 탐색이나 실시간 감시가 어렵다. 반면 less, tail -f, journalctl은 상황에 따라 매우 유연하게 로그를 분석할 수 있다.
목차
less
less 파일명으로 파일을 페이지 단위로 탐색할 수 있으며, 위아래 스크롤과 검색 기능이 가능하다. 대형 로그 파일을 다룰 때 가장 기본적인 선택지다.
예: less /var/log/syslog
tail -f
최신 로그가 추가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때 유용하다.
예: tail -f /var/log/nginx/error.log
서버 운영 중 오류나 이벤트가 발생할 때 로그 흐름을 놓치지 않고 지켜볼 수 있다.
journalctl
systemd 기반 시스템에서 로그를 통합 관리하는 도구로, 커널, 서비스, 부트 로그 등을 한 번에 조회할 수 있다. 일반 텍스트 파일이 아니라 저널 형식으로 저장되기 때문에 journalctl 명령을 통해서만 조회 가능하다.
실무 패턴 1: 구조화된 탐색 with less
기본 사용법
less /var/log/messages
내용을 아래위로 탐색할 수 있고, /검색어로 특정 문자열을 찾을 수 있다.
자주 쓰는 단축키
g: 파일 맨 위로 이동G: 파일 맨 아래로 이동/오류,n: 다음 검색 결과로 이동q: 종료
사용 시점
- 오래된 로그를 탐색해야 할 때
- 특정 키워드 중심으로 과거 이벤트를 분석할 때
- 실시간 로그 추가보다 기존 파일 탐색이 중요할 때
실무 패턴 2: 최신 로그 감시 with tail -f
기본 사용법
tail -f /var/log/application.log
로그가 추가될 때마다 실시간으로 화면에 출력된다.
응용 패턴
tail -n 100 -f /var/log/application.log
최근 100줄을 보고 이후 추가 로그를 모니터링한다.
활용 상황
-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 오류 발생 여부 확인
- 실시간 대응이 필요한 로그 모니터링
- 서비스 재시작, 배포 직후 상태 확인
실무 패턴 3: 서비스·시스템 로그 집중 조회 with journalctl
기본 조회
journalctl
전체 저널 로그가 출력된다. 양이 많으므로 필터링 옵션을 활용해야 한다.
주요 옵션
-u 서비스명: 특정 서비스 로그 조회 (예:journalctl -u nginx.service)-k: 커널 메시지만 조회-n 숫자: 최근 N행 출력--since,--until: 시간 범위 지정 (예:journalctl --since "2 hours ago")-f: 실시간 로그 출력 (예:journalctl -u myservice --follow)--no-pager: 페이징 없이 전체 출력
실무 활용 예시
배포 후 서비스 기동 확인 시:
journalctl -u myapp.service -n 50 --follow
최근 50줄을 확인하면서 이후 추가 로그를 실시간 모니터링한다.
장점
- 서비스 단위로 로그를 필터링할 수 있다.
- 커널, 부팅, 서비스 로그를 통합 조회 가능하다.
- 실시간 추적과 과거 분석이 모두 가능해 문제 대응 속도를 높인다.
실전 조합 활용
다양한 도구를 조합해 로그를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다.
- 배포 후 서비스 기동 확인
journalctl -u myapp.service -n 20 --follow: 최신 로그와 실시간 모니터링
- 오류 발생 시
tail -f /var/log/myapp/error.log: 애플리케이션 로그 감시journalctl -u myapp.service -n 100: 시스템 레벨 로그 확인
- 시스템 문제 진단 시
journalctl -k --since "1 hour ago": 최근 커널 로그 점검less /var/log/syslog: 시스템 로그 파일 탐색
이런 조합을 활용하면 로그의 겉과 속, 서비스부터 시스템까지 모두 파악할 수 있다.
마무리
이제 단순히 cat으로 로그를 보는 단계를 넘어, less, tail -f, journalctl을 상황에 맞게 활용할 수 있다. 로그의 흐름을 놓치지 않으면서도 구조적으로 접근하는 습관을 들이면 문제 대응 속도와 정확성이 크게 향상된다.
실무에서는 이 세 가지 도구를 자연스럽게 조합하는 것이 진정한 로그 분석의 기본기이자 실무자의 역량을 가르는 차이가 된다.